죽을 때 후회하는 5가지
죽을 때 후회하는 5가지
만일 오늘이 삶의 마지막날이라면 무엇을 후회하게 될까? 돈이나 명예 따위가 아니라는 건 알겠지만 구체적인 답이 떠오르지 않는다면, 임종의 순간을 미리 맞았던 타인들의 ‘깨달음’을 참고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영국 <가디언>은 1일 최근 영어권에서 화제가 되고 있는 책 <죽을 때 가장 후회하는 다섯가지>를 소개했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말기환자들을 돌봤던 간호사 브로니 웨어가 블로그에 올렸던 글을 모아 펴낸 책이다.
이 간호사는 수년간 말기환자 병동에서 일하며 환자들이 생의 마지막 순간에 보여준 ‘통찰’을 꼼꼼히 기록했다. 그가 지켜본 사람들은 임종 때 경이로울 정도로 맑은 정신을 갖게 됐는데, 저마다 다른 삶을 살았던 사람들이지만 놀랍게도 후회하는 것은 거의 비슷했다.
① 내 뜻대로 살걸
가장 큰 회한은 ‘다른 사람들의 기대에 맞추지 말고, 스스로에게 진실 한 삶을 살 용기가 있었더라면’하는 것이었다
사람들은 삶이 끝나갈 때쯤 돼서야 얼마나 많은 꿈을 이루지 못했던가 ‘명확하 게’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어떤 것을 하거나 하지 않기로 한 자신의 선택’ 때문에 꿈의 절반조차 이루지 못한 채 죽어야 한다는 것을 부끄러워했다
② 일 좀 덜 할걸
일 좀 덜 할걸’ 하는 후회는 ‘모든 남성’에게서 나타난 공통점이다.
그들은 회사에서 쳇바퀴를 도느라 아이들의 어린 시절과 배우자와의 친밀감을 놓친 것을 깊이 후회하고 있었다.
③ 화 좀 더 낼걸
죽기 전에 후회하지 않으려면 ‘감정’을 표현하는 연습을 하는 것이 좋겠다.
임종을 앞둔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과 평화롭게 살기 위해 자신의 감정을 억누른‘부작용’을 지적했다.
그들은 솔직한 감정을 표현하지 못해 내면에 쌓인 냉소와 분노가 ‘병’을 만들었다고 여겼다.
④ 친구들 챙길걸
사람들은 또 임종 직전에야 ‘오랜 친구’의 소중함을 깨닫곤 했다.
하지만 막상 그땐 친구들의 연락처도 수소문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았다.
⑤ 도전하며 살걸
스스로를 좀더 행복하게 놔두지 않은 것도 큰 아쉬움으로 남았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크게 웃고 삶의 활력소를 찾고 싶었다는 걸 깨닫고 이 세상을 떠났다
-[한겨레 신문 2012. 02. 03 일자]-
~~~할 걸, 하지 못해 못내 아쉬워하는 인생은 살지 말자.
남의 비위를 맞추느라, 남을 너무 배려하느라, 정작 본인은 챙기지 못한 삶, 얼마나 힘든가.
하루 많은 시간을 업무에 시달리는데, 정작 중요한 가정, 배우자, 자녀, 형제, 부모, 지인들을 챙기는 시간을 많이 갖자.
내 감정에 충실하여 홧병이 없어야 하며, 감추고 덮은다고 해서 모든 것이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특별한 날만 친구한테 연락할 것이 아니라 수시로 친구에게 안부를 전하고 물어보는 그런 관계를 유지하자.
나이 먹었다고 해서 못할 일, 없다. 신체나이는 내가 관리하기에 달려있다. 마음나이는 여전히 20대 청춘이다. 도전하는 인생이야말로 젊게 사는 비결이다.
눈이 계속 내린다.
막바지 꽃샘 추위는 옷깃을 여미게 한다.
이 추운날 거실에서 지인들과 따뜻한 차 한잔 나누며
교제하는 것이 참 좋다. 정말로 깊어가는 겨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