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미는 네 안에 숨겨진 ‘미지의 대륙’이야 [퍼온 사진] *취미는 네 안에 숨겨진 ‘미지의 대륙’이야 일은 소모적이잖아. 아무리 좋아서 하는 일이라도 소모되는 부분이 있어. 그걸 다시 채워주는 게 바로 취미야. 일에서 열정을 태웠으면 또 다른 열정을 하나 만들어서 새로운 에너지로 충전하는 거지. 일과 취미로 삶의 밸런스를 .. 순수산 이야기[1]/생각, 사유의 공간 2012.07.19
한새봉에서 제2의 연애시절을 보내다 능소화 요즘 우리부부는 제2의 연애시절을 보내고 있다. 언젠가부터 주말이 되면 울황제랑 무엇을 할까, 일단 설레게 된다. 결혼전 제1의 연애시절에는 울황제가 어디로 데이트 코스를 잡을까, 고심했다면 지금은 쬐끔이라도 젊은 내가 코스를 잡는다. ㅎㅎㅎ 부담없는 주말에 우리는 서.. 순수산 이야기[1]/생각, 사유의 공간 2012.07.17
이직 시기? 너의 1만 시간에게 물어봐 [퍼온 사진] #1 [라웃라이어]라는 책에 보면 ‘1만 시간의 법칙이라고 있어. 1만 시간이 뭐냐면, 내 일에 매일 세 시간씩 몰입해서 그걸 10년 동안 해서 1만 시간을 채우면 성공한다는 법칙이야. 별 것 아닌 것 같다고? 그런데 거기에 하나 빠진 게 있어. 세 시간을 뺀 나머지 스물한 시간 역시.. 순수산 이야기[1]/생각, 사유의 공간 2012.07.13
출출한 오후, 간식 드세요~ [김치전 + 모듬냉차] 장마철인 요즘 오후 4시 정도가 되면 간식거리가 생각난다. 아니나 다를까...외출하고 들어오신 사장님이 "진팀장~ 비가 오면 네가 화단에 있는 부추 뜯어서 부추전 해준다면서...오늘 비오니까 전이 먹고 싶다." "사장님...부추가 자라야 뜯어서 전을 하죠~ 이제 겨우 10.. 순수산 이야기[1]/생각, 사유의 공간 2012.07.11
"언니~ 만드는 것 쉬워~" [통통한 딸기쨈을 넣은 완성된 요플레~] "언니, 요플레 만드는 것 쉬우니까 내가 유산균 분양해줄테니 한번 해봐." "아서라~ 그냥 네가 만든 것만 먹을란다." 며칠 전 동생이 유산균을 분양해서 우리집 냉장고에 넣어놓고 갔다. "이게 뭐니?" "응. 언니, 그릇에서 한 숟가락만 남겨놓고 다른 .. 순수산 이야기[1]/생각, 사유의 공간 2012.07.09
정리의 힘 [퍼온 사진] 작은 일도 정성을 담아 10년을 하면 위대해지고 20년을 하면 두려울 만큼 거대한 힘이 되고 30년을 하면 역사가 된다. 정리는 돈이다 정리는 시간이다 정리는 인테리어다 정리는 삶의 의욕이다 정리는 여유다 정리는 실행력이다 정리는 창조력이다 정리는 기회다 하루의 단 1%, .. 순수산 이야기[1]/생각, 사유의 공간 2012.07.04
꽃들의 인사 블루베리/ 화분에서 잘 자라고 있습니다. 아침에 회사 출근하여 화단 옆 주차장에 주차를 해놓고 2층 사무실로 올라가려는데, 오늘따라 이 예쁜 녀석들이 내 발길을 멈추게 한다. "굿모닝~~~진팀장 " "응. 얘들아 안녕...잘 있었지." 모질게 2층으로 그냥 올라갈수 없어서 나는 가방에서 카메.. 순수산 이야기[1]/생각, 사유의 공간 2012.07.04
단비 [퍼온 사진] 오늘과 같은 단비는 사실 비 자체가 달아서 그런 것이 아니고, 비를 받아들이는 땅이 비를 간절히 원했기 때문에 단비로 느껴진 것이구나 하는 사실을 말이다. 즉 똑같은 비가 와도 받아들이는 토양이 어떤 상태냐에 따라 단비로 느껴질 수도 있고, 홍수로 느껴질 수도 있다는.. 순수산 이야기[1]/생각, 사유의 공간 2012.07.03
드디어, 살구를 따 먹었어요~[2탄] 드디어, 살구를 따 먹었어요~ 그 맛이란... 처음 입에 넣었을때는 별 맛이 없다가 살구를 깨물면 살구가 터지면서 달콤한 맛이 나다가 좀더 씹으면 살구의 신맛이 나고 좀더 씹으면 황홀한 맛이 납니다. 시중에서 이보다 더 큰 살구를 사먹어봤는데도 이렇게 맛난 살구는 처음입니다. 사장.. 순수산 이야기[1]/생각, 사유의 공간 2012.06.25
삶이 너무 편하면 창의성이 메말라버린다 [퍼온 사진] 삶이 너무 편하면 창의성이 메말라버린다. If life is too comfortable, creativity may dry up. 똑똑하고 부유하다고 알려진 유태인들은 미국 인구의 불과 2퍼센트밖에 안되지만, 미국의 부와 권력을 장악하고 각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낸다. 하지만 미국의 유태인 수보다 두 배 가까운 유태.. 순수산 이야기[1]/생각, 사유의 공간 2012.06.25